혼돈의 바다
흔들림의 시간
서산 간월도
우리나라에 미세먼지가 이리 많았던가?
혼탁한 시야를 뚫고 내려갔으나 좁은 땅 거기가 거기..(17.4.2)
간월도- 펌
서산시 부석면에 속한 0.73㎢의 작은 섬으로 천수만(淺水灣) 안에 위치. 처음에는 섬이었으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었다. 경위도 상으로는 동경 126°26′, 북위 36°37′에 위치하며, 최고지점은 70m이다.
서산 A·B지구 간척사업은 민간기업인 현대건설(주)에 의하여 충남 서북의 태안군, 서산시, 홍성군, 보령시 등 4개 시·군으로 둘러싸인 천수만의 북쪽에 두 개의 방조제를 축조하여 방조제 내의 간석지를 농경지와 목축지로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 대규모 개발사업. A·B지구의 총매립면적은 4,700여 만평이고, 이 중에서 간척지는 약 3,330만평, 두 개의 담수호의 면적은 1,390만평에 달한다. 간척지는 사업시행자인 현대 측의 소유로 되었으나, 각각 간월호(看月湖)와 부남호(浮南湖)로 불리는 A지구와 B지구 내에 조성된 두 개의 담수호는 국가에 귀속되었다. 방조제의 길이는 모두 7,686m이며, 준공시까지 투하된 총 공사비는 5,800억원에 달한다.
천수만 A·B지구 간척사업에 따라 물막이 공사 후 간월도의 자연생 토굴(土花)의 생산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김 양식장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등 어장 환경이 악화되는 부정적인 면이 있는 반면, 방조제 축조로 교통 환경이 개선되어 인근 지역의 관광업이 성장하게 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방조제는 해수의 유입을 막아주는 제방의 구실도 하지만, 동시에 도로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방조제 개통이 인근 지역의 교통과 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방조제가 간월도 및 남당리와 같은 명성 있는 어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해 주었다. 방조제가 건설됨으로써 홍성군 지역과 안면도 등의 태안군 남부 지역 간의 통행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고, 관광객이 증가하였다.
간월도는 무학대사가 수도했다고 전해지는 간월암과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은 어리굴젓의 섬
[네이버 지식백과] 간월도 [看月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간월도 [看月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