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이 단풍을 즐기러 나오셨다.
대로사=강한사
1785년(정조 9) 왕명에 의하여 송시열을 제향하기 위하여 여주의 남한강변에 세웠다. 그 해에 사액되었는데 이 때는 송시열에 대한 존칭인 대로(大老)의 명칭을 붙여 ‘대로사’라고 하였다. 앞서 송시열은 여주에 머물 때마다 이 곳에서 영릉(효종능)을 바라보고 통곡하며, 또 후진들에게 북벌의 대의를 주장하였다고 한다. 후일 정조가 영릉에 행차하다가 이 말을 전해듣고 수행한 김양행에게 이 사우를 세우게 하였으며, 또 친히 비문을 지었다. 여기에는 남인을 등용함으로써 노론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던 정조가 노론이 받드는 송시열을 높이고, 그의 문집을 왕명으로 간행하게 하는 등의 특별배려를 베풂으로써 노론의 불만을 달래려고 한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었다.
1972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건물구조는 강당과 사묘, 관리인이 거주하는 부속건물로 이루어져 있어 비교적 간단한 규모이다. 출입문인 장인문이 서쪽으로 나 있으며, 사묘 또한 서쪽을 향하고 있는데, 이는 사우로부터 서쪽 방향에 있는 효종의 영릉을 바라보기 위한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이 전국의 서원과 사우에 대한 훼철를 단행할 때 전국에 송시열을 제향하던 서원 및 사우가 44개소나 되던 것이 모두 헐렸으나 오직 이 대로사만은 ‘강한사’로 이름을 바꾸어 남게 되었다.
서적이나 기타 목판 등이 산실되고, 겨우 외모만 갖추고 있을 뿐이다. 정조 때 사액시 대제학인 김종수가 쓴 ‘대로사(大老祠)’의 현판이 현재 사묘 안에 보관되어 있다.
강천섬만큼이나 아름다운 여주 대로사 초행길
가을이 땅에도 하늘에도 깊숙이 들어와 있었다. 2024.11.13 행사참여를 위한 조퇴, 마친 다음 내친김에 일몰까지 보고 가야지 하고 왔지만 일몰은 시원찮다. 그래도 좋은 노란 가을
'(사진)여행길 > 꽃과 초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로 출렁다리 보러 (0) | 2025.05.27 |
---|---|
은성사 (0) | 2025.04.29 |
꽃무릇 가까이 (0) | 2024.10.13 |
가던길 멈추고 수국수국 (0) | 2024.07.01 |
복사꽃 (0)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