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가온35

2025청사의 새해 첫날 비봉산 전망대 어수선한 정치판에 제주 항공 사고까지 온나라가 슬픔에 빠져 있어  흥이 안난 새해 2025예약한 거고  예보상 하얀구름이고  해서 갔더니만 먹구름이 일출시간에 몰려온다그나마 가장 진했던 빛많은 사람들이 왔으나 환호성이 안나온다,  형국이 그러니 모두  차분하게~  맞으라는 햇님의  신호좀 늦게까지 남아 있었더니 빛내림 선물을 주신다. 야호~올해도 건강히 무탈하게 잘 살게 하옵소서 2025. 1. 5.
눈의 왕국 아침 2024.12.28 폭설주의보 2025. 1. 5.
겨울에 충주에서 놀기 겨울 하얀 악어를 보러 갔으나 눈이 바람에 쓸려 나가 별로 없네. 다시 운동하길 바라나..      인근 월악루 하얀 눈길을 가보고    송계계곡도 누비며 놀다 온 2024.12.21 토요일 하루 좁은 나라지만 참 아름다운 대한민국 2024. 12. 26.
모래재 가을 어떤 MD  묻어가며 나도 샷    이 빨간버스를 얼마나들 기다리는지...반갑다 버스여2024.11.23 진안 모래재 가을 바닥에 메타잎이 살포시 깔아주고 위에도 붉었으면 더 환상일듯.. 그래도 제때 가서 넘 좋았던 진안 모래재 가을 2024. 11. 28.
노란 가을 속 주민들이 단풍을 즐기러 나오셨다. 대로사=강한사1785년(정조 9) 왕명에 의하여 송시열을 제향하기 위하여 여주의 남한강변에 세웠다. 그 해에 사액되었는데 이 때는 송시열에 대한 존칭인 대로(大老)의 명칭을 붙여 ‘대로사’라고 하였다. 앞서 송시열은 여주에 머물 때마다 이 곳에서 영릉(효종능)을 바라보고 통곡하며, 또 후진들에게 북벌의 대의를 주장하였다고 한다. 후일 정조가 영릉에 행차하다가 이 말을 전해듣고 수행한 김양행에게 이 사우를 세우게 하였으며, 또 친히 비문을 지었다. 여기에는 남인을 등용함으로써 노론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던 정조가 노론이 받드는 송시열을 높이고, 그의 문집을 왕명으로 간행하게 하는 등의 특별배려를 베풂으로써 노론의 불만을 달래려고 한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었다.1972년 .. 2024. 11. 15.
여강변 가을 2024. 11. 15.
말티고개 가을 2024.11.9. 드디어 속리산 말티재 가을을 보다인파를 예상하긴 했지만 .. 역시 차가 막혔다. 13번 구비구비 돌아 세조임금도 쉬어 갔다는 말티재,  드론이가 있어야 ㅋㅋ 단풍이 괜찮았는데  16일까지도 좋을듯하다  고려 태조 왕건이 말을 타고 속리산에 오르기 위해 박석을 깔아 길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길이며 지금은 아스팔트길로 포장되어 자동차가 다닐 수 있다. 조선 세조 또한 속리산 법주사로 행차할 때 가마에서 내려 말을 갈아타고 올랐던 길이라고 하며 그때문에 말티재라고 부르게 되었다. 1924년 충북지사 박중양이 비포장길을 정비하여 만들었으며 해발 430m의 산을 13번을 구불거리며 올라가야 말티재 정상에 도착한다.말티재 (보은군 - 두산백과 두피디아) 2024. 11. 15.
백양사 가을 2024.11.2  함평 가는길목에 잠시 들러 아침 단풍맞이,,  아직 덜 물들어 있다. 그나마 좀 들은 빨간 단풍이 잘 보이는 곳에 나와 같은 이들이 모여 들어 슛에 바쁘다. 처음에는 백암사라고 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며 40여 개의 사찰을 관할한다. 631년(무왕 32) 승려 여환이 창건하고, 고려시대인 1034년(덕종 3) 중연이 중창한 후 정토사(淨土寺)라 개칭하였다. 1574년(선조 7) 환양이 백양사라 이름하였다. 당시 환양선사가 절에 머물면서 염불을 하자 흰 양들이 몰려오는 일이 자주 일어나자 이를 보고 사찰이름을 백양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이후에도 여러차례 중건을 거쳤다.사찰의 주요 건물로는 환양이 세웠다는 극락전(지방유형문화유산 32)이 가장 오래되었고, 대웅전(.. 2024. 11. 5.
와 ~도봉산 신선대 등산 도봉산높이는 740.2m이며, 주봉은 자운봉이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일부로 산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절리와 풍화작용으로 벗겨진 봉우리들이 연이어 솟아 기암절벽을 이루고 있다. 주봉인 자운봉에서 남쪽으로 만장봉 · 선인봉이 있고, 서쪽으로 오봉이 있으며, 우이령을 경계로 북한산과 접하고 있다. 조선 선조가 조광조를 위하여 세웠다는 도봉서원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10.26도봉산 신선대 등산 역사적인 사건   북한산국립공원 내 동북쪽에 있는 ‘도봉산’은 최고봉인 자운봉(740.2m)을 비롯하여 만장봉, 선인봉, 주봉, 오봉, 우이암 등의 암벽이 아름답기로 이름난 산인데 특히, 선인봉 암벽 등반코스로는 박쥐코스 등 37개 코스가 개척되어 있다...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