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미읍성의 상춘객
해미읍성
조선 태종 18년(1418)에 충청도 병마절도사영성으로 축조하여 세종3년(1421)부터 충청도 육군의 본영으로 사용되다 효종 3년(1652) 청주로 이설된 이후에는 해미읍성으로 이용된 곳이다.
성의둘레는 1,498m로 북동쪽의 낮은 구릉을 끼고 넓은 평지를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성문은 동, 서, 남, 북 4곳에 있는데 네모지게 잘 다듬은 무사석으로 쌓았으며, 주 출입국인 남문은 아치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문과 서문사이에는 적이 성벽으로 기어오르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성벽에서 밖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2개의 소의 포루가 축조되어 있으며, 성안의 물을 밖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수구가 서문 바로 남쪽에 시설되어 있다.
성벽 바깥으로 깊은 해자을 팠던 자국이 남아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성벽과 해자(도랑) 사이에 탱자나무를 심어 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태자성이라 불리기도 했다.
성안에서는 고종3년(1866)에 천주교를 탄압하면서 천 여명을 처형했던 역사적 사건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 성은 본디 왜구를 막기 위하여 쌓은 것으로 몇 차례에 걸쳐 수축을 하였는데,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성곽 연구에 많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조선시대 명장 충의공 정문부(1565∼1624) 장군의 뜻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충의사가 있다.